본문 바로가기
내가 읽은 좋은책 추천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니콜라스 카) 생각하면서 삽시다.

by still-hope 2025. 3. 19.

 

📌 목차

  1. 사람들은 이제는 더이상 생각을 하지 않는다.
  2.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_니콜라스 카
  3. 책의 핵심 내용 정리 📚
  4. 생각하는 사람이 되기 위한 실천 방안 5가지 🧠

🤯 사람들은 이제 더이상 생각을 하지 않는다. 

지훈(가명)은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스마트폰을 집어 들고 SNS 피드를 스크롤하며 하루를 시작한다. 출근길에는 유튜브 쇼츠와 뉴스 속보를 빠르게 소비하고, 회사에서도 끊임없이 울리는 알림 소리에 집중력을 잃는다. 점심시간에도 동료들과의 대화보다 스마트폰을 우선시하며, 퇴근 후에도 넷플릭스와 SNS를 번갈아 가며 시간을 보낸다. 하루 종일 수많은 정보를 접했지만, 정작 기억에 남는 것은 거의 없다. 과연 우리는 주체적으로 사고하며 살고 있는 걸까?

 

 

🧠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_니콜라스 카

 

 

스마트폰과 인터넷이 일상이 된 현대 사회에서 우리는 언제든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빠르게 소비하는 정보가 과연 우리의 사고력을 높이고 있을까? 니콜라스 카는 디지털 기술이 우리의 깊이 있는 사고를 방해하며, 얕고 단편적인 생각만 하도록 유도한다고 주장한다. 

 

그 연예인 어느 영화에 나왔더라? 이름은 뭐지?

TV를 보다가 갑자기 궁금한 것이 있다면 우리는 인터넷을 통해 쉽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내가 알고 싶은 모든 것이 클릭 몇번으로 알 수 있는 시대이니 말이다. 이렇게 우리는 즉각적으로 궁금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지만, 반대로 깊이 있는 사고를 위한 인내심과 집중력은 더욱 부족해졌다. 이제는 단지 몇초라도 궁금한걸 참을 수 없는 그런 사람들이 되어버린 것이다. 과연 우리는 ‘생각하는 인간’일까, 아니면 ‘생각하지 않는 인간’이 되어가고 있는 걸까?


🧐 니콜라스 카는 누구인가?

이 책을 지은 니콜라스 카(Nicholas Carr)는 기술과 인간의 관계를 깊이 탐구하는 저널리스트이자 작가이다. 대니얼 카너먼의 생각에 관한 생각을 읽은 후에 자연스레 비슷한 도서 몇권을 더 읽게 되었다.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The Shallows)』역시 비슷한 목적을 위해 읽은 책으로 좀처럼 집중하지 못하고 생각보다는 인터넷을 통한 남의 생각을 내생각인것처럼 받아드리는 게 정말 옳은 일인가라는 물음에서 나는 이책을 읽게 되었다.


📚 책의 핵심 내용 정리

1. 인터넷은 우리의 뇌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저자는 인터넷 사용이 뇌 신경 회로를 재구성하며, 깊이 있는 사고보다 단편적인 사고를 하게 만든다고 설명한다. 연구에 따르면, 인터넷은 우리의 주의 집중력을 약화시키고, 깊은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감소시킨다. 마치 운동을 통해 우리가 근육을 단련하듯, 사고하는 과정에서 뇌는 신경회로를 좀 더 복잡하게 만들지만, 반대로 인터넷 사용에만 의지한다면, 신경회로는 좀 더 단순한 회로만으로 재구성되는 것이다.

 

2. 정보의 홍수 속에서 우리는 피상적으로 사고한다

인터넷은 방대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우리는 그 정보를 깊이 이해하지 않고 피상적으로 소비하는 경향이 있다. 끊임없는 알림과 짧은 글들이 우리의 사고방식을 변화시키며, 긴 글을 읽는 인내심을 잃게 만든다. 그리고 쏟아지는 정보를 비판적인 사고 과정 없이 그냥 순응하고 믿게 된다. 인터넷에 거짓 정보와 선동이 더 많이지지만 사람들은 확증편향에 따라 믿고 싶은 대로 믿게 된다.

 

3. 깊이 있는 독서가 사라진다

인터넷과 SNS의 발달로 인해 우리는 긴 글을 읽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책을 읽더라도 몇 페이지 이상 집중하지 못하며, 빠르게 넘기면서 표면적인 정보만 습득하는 경우가 많다. 텍스트 보다는 영상에 더 길들여져 점점 더 글을 읽고 집중하는 과정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4. 기억력과 사고력이 저하된다

니콜라스 카는 디지털 환경이 우리의 기억력과 사고력을 약화시킨다고 지적한다. 정보를 외우기보다 검색하는 습관이 뇌의 기억 저장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예전에는 10개는 거뜬히 외울 수 있었던 전화번호 역시 외울 필요가 없게 되었고, 외울 수도 없게 되었다.

 

 5. 우리는 기술의 도구인가, 아니면 기술이 우리의 도구인가?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우리가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이 우리를 통제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니콜라스 카는 이러한 환경에서 우리가 능동적으로 사고하는 습관을 잃어가고 있다고 경고한다.

 


🧠 생각을 위한 실천 방안 5가지

1. 집중력을 기르는 ‘딥 리딩(Deep Reading)’ 습관 만들기

  • 짧고 단편적인 정보 대신 책을 읽으며 깊이 있는 사고력을 키운다.

 

2. 스마트폰과 인터넷 사용 시간 줄이기

  • 이제는 스마트폰 없는 세상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시간을 지금보다 줄여갈 수는 있다. 특히 아침 시간은 뇌가 활성화되는 시간이므로 아침 시간을 활용 해 일정 시간 ‘디지털 디톡스’를 실천한다.

 

3. 메모와 필기 습관 기르기

  •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생각을 정리하는 도구’로 필기를 활용한다.

 

4. 깊이 생각하는 습관 키우기

  • 문제를 해결할 때 즉각적인 검색보다 먼저 스스로 고민해보는 시간을 갖는다. 이런 문제가 발생한 원인은 무엇이지? 최악과 최선의 대안은? 선택을 위해 내가 지금 즉각적으로 실천할 것은 무엇이지? 이렇게 머리속으로 먼저 생각하고, 해결책을 찾는 습관을 기른다.

 

5. 자연 속에서 사색하는 시간 갖기

  • 산책이나 명상을 통해 깊은 사고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 때로는 머리속을 아무생각 없이 비우는 시간도 필요하다. 몸이 피곤할 때 휴식과 잠을 자는 것처럼 우리 뇌에도 휴식을 주는 시간이 필요하다. 자연속에서 의식의 흐름에 따라 머리속에 한가지 생각이 아닌 있는 그대로의 흐름(flow)를 느낀다.

🔥 마무리 및 추천 이유

사실 많은 뇌과학이나 생각과 관련한 책들은 친절한 책은 아니다. 개념도, 전문용어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책은 아니지만 내 수준에서 조금 더 어려운 책들을 읽어가면서 깊게 생각하는 습관과 인터넷 중독을 자각하는 기회로 만들 수 있었다. 

 

이 책을 읽으면 우리가 얼마나 무의식적으로 기술에 의존하고 있는지를 깨닫게 된다. 만약 당신이 집중력 저하를 느끼거나, 깊이 있는 사고를 원한다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다.